특이성 면역의 종류와 기전에 관해 설명한다.
1) 체액성면역
B 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한 후 분화되어 항체를 분비, 이 항체는 주로 감염된 세균을 제거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항체는 체액에 존재하며 면역글로불린이라는 당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는 IgG ·IgM ·IgA ·GID ·IgE 등의 종류가 있으며, 각각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며 일부 기능이 중복되기도 한다. IgA 항체는 태반을 통해 태아에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면역을 모성면역이라 하며, 이 때문에 출생 후 수개월 동안 잘 감염되지 않는다.
2) 세포성 면역
흉선에서 유래한 T림프구가 항원을 인지하여 림포카인(lymphokine)을 분비하거나 직접 감염된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분비된 림포카인은 대식세포를 활성화해 식작용을 돕기도 한다. 이와 같은 세포성 면역은 주로 바이러스 또는 세포 내에서 자랄 수 있는 세균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획득면역은 병원체 또는 그 독소를 면역원으로 예방접종 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면역을 인공면역이라 한다.
4. 과민반응의 발생기전 및 종류에 관해 설명한다.
1) 과민반응 제 Ⅰ형 : 즉시형 또는 아나필락시스 형 과민반응
항원이 점막 표면을 통하여 유입되면 국소의 항원 제공 세포에 의해 탐식 되어 처리된 후 협조 T세포에 제공되며 B세포가 증식하고 분화하여 알려진 특이항체를 생산하고, 비만세포나 호염구에 있는 IgE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들 세포를 감작시킨다. 최초의 IgE 항체는 조직의 비만세포나 혈중의 호염기구 표면의 FC 부에 결합한다. 재차 침입한 항원이 이 IgE 항체와 반응하면 비만세포 내의 과립에 있는 histamine 등의 활성물질이 방출되고, 이에 따라 평활근의 수축, 모세혈관의 투과성 항진을 일으켜 격한 증상을 나타낸다.
2) 과민반응 제 Ⅱ형 : 세포독성 과민반응(Cytotoxic reaction)
항체가 Fab 부위를 통하여 세포 표면의 상원과 결합하여 FC 부의를 통하여 보체에 가교역할을 한다. 적혈구가 표적세포일 경우에는 자가면역성 용혈 빈혈, 신생아 용혈 빈혈, 수혈반응을 일으키며 호중구나 혈소판이 표적일 때는 호중구 감소증이나 혈소판 감소증을 일으킨다. 기저막에 특이한 항체가 신사 구체 기저막이나 폐혈관 기저막에 결합하면 신장과 폐장에 병변을 일으키는 Goodpasteure 증후군을 일으킨다.
3) 과민반응 제 Ⅲ형 : 면역복합체선 질환(Artus type or immune complex disorder)
항체가 그 특이항원과 결합하면 면역복합체가 형성되고 이 면역 복합체가 조직에 참작되면 보체가 활성화되고 다형핵 백혈구들이 침착 부위로 유인되어 국소 조직손상이 일어난다. 특정 항원에 대한 IgG 항체를 생산하는 개체의 피부에 항원을 주사하면 Artus 반응이라고 부르는 제 Ⅲ형 알레르기 피부 반응이 나타난다. 이는 국소에서 항원과 IgG 항체가 결합한 면역복합체가 보체를 활성화하여 호중구가 모여서 국소에 발적과 부족을 일으켜 3~8시간 후 최고에 이르며 국소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국소 조직을 상해하는 현상이다.
4) 과민반응 제 Ⅳ형 : 지연형 과민반응 또는 세포 매개성 과민반응
접촉성 과민반응과 투베르쿨린 반응은 항원 야기 주사 후 72시간 이내에 일어나지만 육아종성 반응은 그 발현에 수주간이 걸린다. 이 반응은 항원에 감작 된 T세포가 동일 항원과 다시 접촉한 후에 림포카인을 분비하여, 림포카인은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염증성 매개 물질들을 분비하는 대식세포를 활성화해서 생긴 염증성 조직 상해 반응이다.
형
즉시형
지연형
Ⅰ형
Ⅱ형
Ⅲ형
Ⅳ형
반응
Anaphylaxis 반응
세포상해 반응
면역복합체
세포성 면역반응
반응의 주역
IGE
IgG
IgG
감작 T림프구
보체의 필요로
무
유
유
무
질환의 예
․Anaphylaxis shock
․담마진(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화분증
․식품 allergy
․부적합한 수혈 및 임신 부작용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증
․혈청병
․전신성 홍반성 낭창
․사구체신염
․과민성 폐렴
․류머티스관절염
․감염 allergy
․접촉피부과민증
(과민증의 분류)
11장. 배뇨
1. 신장의 기능을 설명한다.
1) 수분-전해질 균형 유지(조절기관)
2) 혈중 대사산물과 이물질 제거(배설기관)
3) 산-염기 균형 유지
4) 호르몬의 분비(내분비기관)
2. 신장과 비뇨기계의 구조를 기술한다.
신장 조직은 신장 피막 바로 아래에 있는 바깥층을 피질이라고 하고 안쪽은 수질이라 한다. 피질에는 한쪽 신장에 약 100~125만개의 네프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질에는 8~18개의 신 척추뼈 몸통으로 구성되며 그 끝은 소신 배, 대신 배, 신추에는 집합관과 그 끝이 유두로 이루어졌다. 수질의 가장 안쪽을 유도라고 하며 유두는 신재, 신우를 통해 요관과 연결된다. 소변은 요관을 거쳐 방광에 저장되어 있다가 요도를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3. 네프론의 구조를 기술한다.
네프론은 신장의 기능적, 구조적 단위를 이루고 있으며 한쪽 신장에 100~125만 개의 네프론이 있다. 네프론은 산소에와 세뇨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네프론은 사구체의 위치에 따라 피질 네프론과 수질 옆 네프론으로 구분한다. 피질 네프론은 사구체가 피질 표층과 중간층에 있고 헨레고리가 짧으며 수질옆네프론은 사구체가 피질과 수질 경계부에 위치하며 헨레고리가 길어 수질 속으로 깊이 뻗어 집합관과 나란히 달린다.
1) 신소체(Renal corpuscle) : 신소 체 모세혈관을 풀면 길이가 약 80km나 되며 이러한 새 소송에 가 양쪽 신장에 약 200만 개가 있다. 말피기소체는 중심이 되는 사구체와 이를 둘러싸는 내엽과 외압의 두 겹으로 된 보먼주머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구체에서 보먼주머니의 매엽과 외어요 사이의 공간이다.
2) 신세뇨관(Renal tubule) : 세뇨관은 전체 길이가 4~5cm로 근위 세뇨관, Hele 고리, 원위곡세뇨관으로 나누어진다. 근위 세뇨관은 굴곡부분과 직선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질로부터 수질 쪽으로 내려가서 Hele 고리로 연결되어 있다. 많은 집합관이 한데 모여 피질집합관을 형성하고 피질집합관은 아래 수질로 휘어져 들어가 수질집합관으로 들어가며 수질집합관은 유두 끝에서 소신 배에 개구하고 있다.
4. 사구체 여과를 설명한다.
사구체 여과는 소변을 만드는 첫 단계이다. 혈액이 사구체 모세혈관으로 들어오면 혈액은 사구체 모세혈관만을 통해 보먼주머니로 여과되는데 이 과정을 여과라 하며 이 액체를 사구체여과액이라고 한다. 혈구․혈장단백질 등은 여과되지 못하고 그 외의 혈장 내의 모든 성분이 여과된다.
* ①일반 모세혈관보다 25배 정도 투과성이 높고 사구체 혈압도 높으며 단위 여과 면적당의 여과량은 많다. ②혈청 알부민, 헤모글로빈은 약간 여과되며 그 이상의 큰 단백질은 여과되지 못한다. ③사구체에서 여과되는 혈장량의 99% 이상은 세뇨관 및 집합관에서 혈액 속으로 재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은 하루 약 1.5리터 정도로 전체의 1% 정도이다.
6. 소변의 농축과정을 설명한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의 80% 이상이 근위 세뇨관에서 등장성으로 재흡수되고 20%만이 헨리 고리의 하행 각으로 들어간다. Hemel 고리 하 행각은 수분에 대한 투과도가 매우 높아 헨리 고리 주위 조직과 상투적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근위세뇨관에서 등장성 용액이 헨레고리 하행각을 따라 내려갈수록 수분흡수가 이루어진다. 원위세뇨관에서는 Na+의 재흡수가 계속되기 때문에 여과액의 농도는 더욱 더 낮아진다. 따라서 물은 Na+와 동반하여 세뇨관의 밖으로 빠져 나가려고 하는데, 이때 세뇨관벽의 수분 투과도는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항이뇨호르몬(ADH)에 의해 결정된다. 즉, 항이뇨호르몬은 수분을 재흡수하게 하여 원위세뇨관에서 주위 조직과 삼투적 평형이 일어나 요의 삼투질 농도가 등장성 용액이 된다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화학 (0) | 2022.12.25 |
---|---|
생식,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0) | 2022.12.25 |
부신피질, 수질호르몬,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0) | 2022.12.25 |
내분비생리 (0) | 2022.12.25 |
면역 생리학 (0) | 2022.12.22 |
댓글